-
스페이스X 스타쉽 다음 비행, 이번주 금요일?빅테크 이야기 2025. 2. 25. 20:31728x90
발사되는-스타쉽 오늘은 스페이스X(SpaceX)의 야심찬 프로젝트인 스타쉽(Starship)의 다음 비행 소식을 전해드리려고 합니다. 최근 엘론 머스크(Elon Musk)가 이끄는 스페이스X가 스타쉽의 여덟 번째 시험 비행(Flight 8)을 이번 주 금요일, 즉 2025년 2월 28일에 계획하고 있다는 소식이 전해졌습니다. 이는 지난 7차 비행의 아쉬운 결과 이후 많은 이들이 기다려온 순간인데요. 과연 이번 비행은 어떤 결과를 가져올지, 지금부터 자세히 알아보겠습니다.
#### 스타쉽 Flight 8, 언제 어디서?
스페이스X는 스타쉽의 다음 발사를 2월 28일 금요일 오후 5시 30분(중부 표준시, CST)로 목표하고 있습니다. 발사 장소는 역시 스페이스X의 스타베이스(Starbase) 시설로, 미국 텍사스주 보카치카(Boca Chica)에 위치해 있습니다. 이곳은 스타쉽 개발과 시험 비행의 중심지로, 지난 몇 년간 수많은 실험과 도전이 이루어진 곳이죠. 현재 스페이스X는 FAA(미국 연방항공청)의 최종 승인을 기다리고 있으며, 이는 비행 일정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중요한 변수입니다. 만약 승인이 제때 이루어진다면, 이번 주 금요일 하늘에서 또 한 번 역사적인 장면을 목격할 수 있을지도 모릅니다.
#### Flight 7의 교훈과 Flight 8의 기대
지난 1월 16일에 진행된 스타쉽 7차 시험 비행(Flight 7)은 부분적인 성공과 함께 아쉬움을 남겼습니다. 슈퍼 헤비(Super Heavy) 부스터는 발사 후 "메카질라(Mechazilla)"라는 거대한 기계 팔에 성공적으로 착륙하며 재사용 가능성을 입증했지만, 상단 스테이지인 스타쉽은 약 8분 후 통신이 끊기며 대서양 상공에서 폭발하고 말았습니다. 엘론 머스크는 이 실패의 원인을 "추진 시스템 내 산소/연료 누출"로 추정하며, 이번 8차 비행에서는 이를 해결하기 위한 개선이 이루어졌다고 밝혔습니다.
Flight 8에서는 특히 상단 스테이지의 내구성과 안정성을 높이는 데 초점을 맞춘 것으로 보입니다. 스페이스X는 이전보다 더 큰 추진제 탱크(1,200톤에서 1,500톤으로 증가)와 재설계된 플랩(flaps)을 도입했으며, 재진입 시 열 보호를 강화하기 위한 새로운 열 타일(heat tiles)도 적용했다고 합니다. 또한 이번 비행에서는 10개의 모의 스타링크(Starlink) 위성을 탑재해 실제 위성 배치 임무를 시뮬레이션할 계획입니다. 이는 스타쉽이 단순한 시험 로켓을 넘어 실질적인 우주 수송 수단으로 자리 잡기 위한 중요한 단계입니다.
#### 메카질라 캐치, 이번엔 가능할까?
스페이스X의 궁극적인 목표는 스타쉽과 슈퍼 헤비 모두를 완전히 재사용 가능하게 만드는 것입니다. 이를 위해 "메카질라"라는 발사탑의 기계 팔로 로켓을 공중에서 붙잡는 기술이 핵심인데요. Flight 5에서 처음 성공한 이 기술은 Flight 6에서 발사탑 센서 손상으로 인해 시도되지 못했습니다. Flight 7에서는 다시 성공했지만, 상단 스테이지의 폭발로 완전한 성공이라 하긴 어려웠죠. 이번 Flight 8에서는 아직 메카질라 캐치 여부가 명확히 밝혀지지 않았습니다. 일부 전문가들은 단기적으로 바다 착륙이나 땅 착륙이 우선일 가능성을 제기하고 있으며, 이는 FAA의 안전 규제와도 연관이 있어 보입니다.
#### 왜 스타쉽이 중요한가?
스타쉽은 단순한 로켓이 아닙니다. 이 거대한 로켓은 인류가 달과 화성으로 나아가는 데 필요한 핵심 기술을 담고 있습니다. 스페이스X는 2026년 NASA의 아르테미스 3(Artemis 3) 임무에서 스타쉽을 통해 우주비행사를 달 남극에 착륙시킬 계획을 세우고 있으며, 더 나아가 2026년 또는 2028년에는 무인 화성 탐사선을 보내고자 합니다. 엘론 머스크는 "2년 안에 무인 스타쉽을 화성에 보내고, 4년 후에는 유인 탐사를 실현할 것"이라며 강한 자신감을 드러냈습니다. 이런 야심찬 계획을 실현하려면 스타쉽의 안정성과 빈번한 발사가 필수적이며, 이번 Flight 8은 그 여정을 위한 또 하나의 발판이 될 것입니다.
#### 이번 비행의 관전 포인트
1. **상단 스테이지의 안정성**: Flight 7에서 실패한 부분이 개선되었는지 확인하는 것이 가장 큰 관심사입니다.
2. **모의 위성 배치**: 스타링크 위성 배치 시뮬레이션이 성공한다면, 스타쉽의 상업적 가능성이 한층 더 높아질 것입니다.
3. **FAA 승인과 일정**: 규제 당국의 승인 여부와 날씨 조건이 이번 발사에 어떤 영향을 미칠지 주목됩니다.
4. **재사용 기술**: 메카질라 캐치가 시도되지 않더라도, 슈퍼 헤비의 착륙 성공 여부는 여전히 중요한 이정표입니다.
#### 마무리하며
스페이스X의 스타쉽은 매번 시험 비행을 통해 한계에 도전하며 진화하고 있습니다. 이번 8차 비행이 성공적으로 마무리된다면, 2025년 스페이스X가 목표로 하는 25회의 스타쉽 발사라는 야심찬 계획에 한 발 더 다가갈 수 있을 것입니다. 금요일 오후, 전 세계 우주 팬들이 텍사스 하늘을 주시하며 또 한 번의 역사적인 순간을 기다리고 있겠죠. 여러분도 스페이스X의 공식 유튜브 채널이나 X를 통해 생중계를 확인하며 이 여정에 동참해보세요!728x90'빅테크 이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랩터 3 : 로켓 엔진 설계의 혁신과 스타쉽의 미래 (0) 2025.03.04 Grok 3로 탄생한 최신 AI 생성 3D 게임: 3,500줄 로직의 혁신 (2) 2025.03.03 Grok-3 vs GPT-4.5: AI 성능의 새로운 기준과 경쟁 분석 (2) 2025.02.28 피터 롤린슨 루시드 CEO 사임: 전기차 업계의 충격적인 변화와 그 의미 (2) 2025.02.26 xAI, 2026년까지 GPU 100만 개로 확장 계획: AI 슈퍼컴퓨터의 미래를 열다 (2) 2025.02.24